Posts 확률(Probability)의 수학적 정의와 의미, 성질, 분포 함수
Post
Cancel

확률(Probability)의 수학적 정의와 의미, 성질, 분포 함수

1. 확률의 수학적 정의와 의미


1.2 표본공간과 확률표본

  • 확률표본(표본) : 확률적 문제에서 발생할수 있는 하나의 현상
  • 표본공간 : 가능한 모든 표본의 집합, 어떤 표본이 가능하고 어떤 표본이 가능하지 않는가를 정의하는 것

1.3 사건

  • 표본공간의 부분집합, 전체 표본공간 중에서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일부 표본의 집합
  • ~ 가 나오는 경우에서의 ‘경우’라는 개념이 사건

1.4 확률

  • 사건을 입력하면 숫자(확률값이)가 출력되는 함수
  • 모든 각각의 사건(부분집합)에 어떤 숫자를 할당하는 함수
  • 콜모고로프의 정리
    1. 모든 사건에 대해 확률은 실수이고 0 또는 양수이다.
    2. 표본공간(전체집합)이라는 사건에 대한 확률은 1이다.
    3. 공통 원소가 없는 두사건의 합집합의 호가률은 사건별 확률의 합이다.

1.5 확률은 표본이 아닌 사건을 입력으로 가지는 함수

  • 확률은 표본하나하나에 대해 정의되어있는 숫자가아님!!
  • 확률은 표본이 아닌 사건(부분집합)에 대해서 정의되는것

1.6 주사위 한면의 확률은 무조건 1/6?

  • 공정하지 않은 주사위의 확률은 다를수 있다.

1.7 확률의 의미

  • 빈도주의 관점 : 반복적으로 선택된 표본이 사건 A의 원소가 될 경향
  • 베이지안 관점 : 선택된 표본이 특정한 사건에 속한다는 명제에 대한 신뢰도
    • 베이지안 확률론에서 사건이 일어났다 = 그 사건의 원소중에 정말로 선택된 표본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추가정보가 들어있다
  • 검진결과를 보아 암에 걸렸을 확률이 90%이다
    • 빈도 : 같은 증상 100명 중 90명이 암에 걸렸다.
    • 베이지안 : 암에 걸릴 신뢰도가 90%이다


2 확률의 성질


2.1 성질

  • 성질1 : 공집합인 사건의 확률인 0이다
  • 성질2 : 어떤 사건의 여집합인 사건의 확률은 (1-원래 사건의 확률)과 같다
  • 성질3 : 두사건의 합집합의 확률은 각 사건의 확률의 합에서 두사건의 교집합의 확률을 뺀것과 같다. 이를 포함-배제의 원리라 한다.
  • 성질4 : 전체 확률의 법칙
    • 서로 교집합이 없다. 이를 서로 베타적이라고도 한다.
    • 모든 집합의 합집합이 전체 집합(표본공간)이다. 이 경우 완전한 부분 집합들이라고 본다
    • 사건 A의 확률은 사건 A와 사건 C가 동시에 발생할 사건들의 확률의 합과 같다.


3 확률분포함수


3.1 확률분포

  • 어떤 사건에 어느정도의 확류링 할달되었는지 묘사한 정보
    • 확률질량함수 : 정의역이 유한
    • 누적분포함수 : 정의역이 무한
    • 확률밀도함수 : 정의역이 무한

3.2 단순사건과 확률질량함수

  • 단순사건 : 표본이 하나인 사건, 단순사건의 합의 확률인 1이다
  • 확률질량함수 : 유한개의 사건이 존재하는 경우 각 단순사건에 대한 확률만 정의하는 함수

3.3 표본수가 무한한 경우

  • 표본수가 무한하고 모든표본에 대해 표본하나만을 가진 사건의 확률이 동일하다면, 표본하나에 대한 사건의 확률은 언제나 0이다.

3.4 구간

  • 표본 공간이 실수의 집합이라면 대부분의 사건(부분집합)은 시작점과 끝점이라는 두숫자로 이루어진 구간으로 표현한다.
  • P(a,b) a = 시작점, b = 끝점

3.5 누적분포함수

  • 시작점을 모두 똑같이 음의 무한대로 통일한 특수구간을 사용하여 숫자 하나로 구간을 표현하는 함수
  • F(b) = F(a) + p(a,b)
  • p(a,b) = F(b) - F(a)
  • 음의 무한대에 대한 누적분포함수값은 0이다
  • 양의 무한대에 대한 누적분포함수값은 1이다
  • 입력이 크면 누적분포함수값은 커진다.(단조증가)

3.6 확률밀도함수

  • 누적분포함수를 미분하여 구한 도함수
  • 해당구간의 면적이 확률임
  • 면적은 정적분으로 구함
  • 적분함수인 누적분포함수의 기울기가 음수가 될수 없기 때문에 확률밀도함수는 0보다 같거나 크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최적화(Optimization) with Scipy, 확률(Probability) with Pgmpy

결합, 조건부 확률과 베이즈 정리